현대는, 물가는 물가대로 치솟고, 먹고살기는 어려운데, 금리는 멈춰버린,

그야말로 서민들에게는 재산을 지키는 것 조차 어려운 시대입니다.

한국은행은 3개월째 기준금리를 동결한 상태이고,

새마을 금고의 금리 역시 2.8%로 떨어져버렸습니다.

다시말해, 은행에 돈을 맡긴다 하더라도 우리는, 15.4%의 이자소득세

그리고 물가상승률을 신경써야 합니다.

솔직히, 그런 부분 다 따져본다면, 가지고 있는 재산을 지키는 것 조차도 쉽지 않은 실정이지요.

이러한, 저금리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그래서, 저금리 시대에 필수사항인

"세테크"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세태크를 위해서는??


하나, 세테크를 위해 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일은 일단,

지금 가입중인 상품이 절세형 상품인지를 확인하는 일입니다.

예금이나 MMF, CMA같은 경우를 제외한다면, 소득에 대해 15.4%를 원천징수 하기 때문에,

비과세 절세형 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훨씬 이득인 셈이죠.

게다가 직장인의 경우에는 1천만원 세금우대도 가능하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보험 역시, 보장형 상품을 선택해야 하는데요,

가장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이 바로 "변액유니버설보험"입니다.

변액유니버설보험의 경우 10년 이상 유지한다면 이자 소득세를

전액 면제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는 분이시라면, 근로자 우대 저축

또는 세금우대 적금 상품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둘, 세태크를 위해 우리가 해야하는 또다른 한가지는 바로,

안전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가져갈 수 있는 투자대안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일단 주가연계증권이라고 불리는 ELS는 원금 보장형으로,

개별 주식가격과 주가지수에 연계되어 투자수익이 결정되는 유가증권입니다.

이 상품은, 자산을 우량채권에 투자하여 원금은 보존하고

일부분만 주가지수의 옵션 등의 금융파생상품에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주가연동예금인 ELD역시 좋은 상품입니다.

ELD는 은행의 정기예금 형태로 판매되고 있는 상품으로, 정해진 주식의 가격, 주가 지수에 연동하여

그 투자수익이 달라지는 제품입니다.

원금을 보장하면서 수익도 챙겨갈 수 있는 ELS와 ELD상품을 꼼꼼히 따져보시고 선택하신다면,

안전성과 수익성, 두마리 토끼를 다 잡으실 수 있다는 사실 기억하세요^^


셋, 마지막으로 세태크를 위해 해야할 한가지, 그것은 바로 "금리 흥정"입니다.

이렇게 말씀 드리면 "은행에서 무슨 금리를 흥정하냐"고 고개를 저으실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은행에서도 정해진 규정에 따라 일정 금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아마 아는 분도 꽤 많으실 겁니다^^)

따라서 은행에서 예금을 가입할 경우, 추가금리를 놓고 흥정을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거래 은행으로 이용하겠다는 인상을 심어준다면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닙니다.

실제로, 은행의 규율 상, 직급과는 무관하게 일정 금리를 올릴 수 있는 재량을 직원들이 다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흥정을 잘만 한다면 0.1%~0.3%가량 금리를 더 받으실 수 있다는 사실, 알아두세요^^



요즘같은 저금리 시대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세태크 전략"이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솔직히 요즘 마트에 장보러 가면, 물건 살때마다 나름대로 꼼꼼히 따져가면서 골라도

계산할때 보면 정말 당황하게 됩니다 ㅠㅠ

산것도 얼마 없는데 가격은 어마어마하게 나오니, 이거 어디 살겠나 싶더라구요 ㅠㅠ

은행에 돈 맡기고, 그 이자로 생활할 수  있는 시대는 이미 예~~~~전에 지나가고 없습니다.

이제는 돈을 "잘 굴려서" 그나마 가지고 있는 재산이라도 보존하는 것 만으로도 다행인 셈입니다.

하지만 이런 시대에도 여전히 재테크 잘해서 돈을 잘 버는 분들도 많다는 사실, 잊으시면 안됩니다^^

여러분도, 저도 좀더 현명한 재테크를 통해, "돈을 잘 굴려"보는건 어떨까요??


감사합니다^^




Posted by eriny
한걸음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