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활을 막 시작하는 20대 중후반의 나이..

그 이전까지야 물론 알바 또는 기타 등등의 방식으로 어느정도 돈을 벌어보기는 했을 테지만..

그래도 본격적인 "직장인"으로서 사회생활을 하고.. 꾸준히 월급을 받고..

그 월급을 계획적으로 사용하고 재테크를 하는 것은 어쨋거나 "처음"이 아닐까 합니다.


그리고.. 바로 이 "처음"!! 첫 단추를 얼마나 잘 끼우냐에 따라..

앞으로 10년 20년.. 그 후의 삶의 질은 달라질 수밖에 없죠~^^

누군가는 단기, 중기,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에 맞게 재테크를 하고..

누군가는 그냥 적당히 통장에 돈을 잘 모아두기만 하는 재테크를 하니..

그 차이는..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더욱 벌어지게 마련인 셈인데요~


헌데 막연하게 다달이 받는 월급을 어떻게 모아야 할지..

어떤 목표를 가지고 계획을 세우고 재테크를 진행해야 할지..

사회초년생.. 신입사원들 입장에서는 난감할 수밖에 없죠~;;

더더군다나 요즘같은 저금리 시대에는 특히나 더 말입니다.





신입사원, 사회초년생 재테크 그 시작은 ??

현재.. 저금리 상황이 꽤 오래 지속되어가고 있고.. 이런 상황에서 재테크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

사실상.. 많은 분들께서 펀드 또는 주식으로 눈을 돌리시곤 합니다.

물론, 이러한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나쁜 것은 물론 아니지만..

정말 제대로 공부를 하고, 상황을 판단하면서 계획적으로 투자를 하는 사람이..

그러나 많지 않다는 것이 문제죠~;;


수익성과 안정성이라는 두마리의 토끼를 다 잡기 위해 필요한 것..

그것은 어쨋거나.. "체계적인 계획"과 "투자스타일" 그리고 "분명한 목적"의 삼박자가 잘 맞아야한다는 것일 텐데요~~

따라서.. 무작정.. 남들이 좋다는 상품에 투자하기 보다는.. 일단.. 체계적으로 목표를 잡고 계획을 시우는 것이 우선!!





1. 생애주기를 고려한 인생설계

먼저.. 가장 큰 그림.. 밑그림이라고 할 수 있는 인생설계가 우선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자기 자신을 중심에 놓은 후.. 배우자, 가족의 미래를 그려보는 것이죠.


2. 시기에 맞는 재무목표 설정

중장기적인 재무목표와 함께 단기적인 목표도 세우셔야 하는데요~

(쉽게 예를 들어 본다면, "내집장만", "결혼준비", "자녀 교육비", "노후대비"등등이 있겠죠^^)

보통은 중장기적 재무목표.. 또는 단기적 재무목표만 세우시는 경우가 많아서..

중간에.. 계획이 틀어지는 일이 의외로 많습니다.


3. 재무상태 분석

재무 목표 달성에 필요한 재원을 따져보셔야 합니다.

소득과 지출.. 그리고 부채가 있다면 그 비중까지 꼼꼼히 분석하는 "재무건전성"체크를 통해..

현재 상황에서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점검해보셔야 겠습니다.


4. 중장기, 단기 계획 수립 및 실행

큰그림.. 중장기 단기 계획에 의한 스케치.. 그리고 분석을 통한 투자방법을 설정할 차례죠~

예산을 수립한 후.. 목표를 이루기 적합한 수준의 지출통제를 진행하셔야 하는데요~

이 과정에서 보통..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며, 자신이 투자하고 있는 금융상품을 재검토 해보시면 됩니다.


5. 변하는 상황에 맞게 재무상태를 평가하며 그에 맞게 수정할 것

한번 계획을 세우고.. 목표를 세우고.. 상품을 선택했다고 그대로 쭉.. 이어질 수는 없는 노릇..

바뀌어 가는 경제 상황과.. 소득의 변화.. 금융환경 등을 고려하여..

그에 발맞추어 재무목표를 수정하거나 새로 갈아엎기도 해야 하는데요~

바로 이 과정을 위해 꾸준히.. 평가와 검토를 해야 겠죠^^




사회초년생.. 신입사원이 알아두어야할 돈모으는 월급관리방법은??


1. 통장관리는 필수!!
기본적으로 통장관리라 하면.. "통장쪼개기"를 떠올리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월급통장과 투자통장, 생활비통장과 비상금통장.. 이렇게 네종류의 통장이 기본적인 통장쪼개기의 준비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여기에서 투자통장의 경우.. 그 상품의 수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는 부분이겠죠^^??


어쨋거나.. 이렇게 통장쪼개기를 하시는 이유는.. 목적에 맞게 지출을 관리하셔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무생각 없이 .. 월급 들어왔다고 이렇게 저렇게 쓰고~ 카드 긁고.. 그러다보면..

월급날이 다가올 수록.. 통장에는 먼지만 가득할 수밖에 없으니..

결국.. "얼마를 모아야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통장을 따로 관리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로 통장쪼개기를 해야, 지출에 예민해질 수 있죠~^^)


*보통 월급통장으로는 CMA 나 MMF통장을 많이 사용하고 계십니다.





2. 중장기 단기적 목표를 준비!!

위에서 잠시 언급했던 것처럼.. 내집마련, 결혼자금, 육아 교육비, 노후자금 등등..

중장기, 단기적 목표에 맞게 돈을 모아두셔야 하는데요~~

헌데 참 슬픈 것이.. 돈 모으기는 어려운데 쓰기는 참 금방~이라는 것..;;;


허니.. 크고 작은 목표들.. 그리고 갑자기 들이닥칠지 모를 목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미리미리, 틈틈히 재무상태를 점검하셔야 겠죠~^^??





가끔씩.. 결혼한 친구들의 푸념섞인 이야기들을 듣다보면.. 정말 돈은 결혼 전에 모아야 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나름 모은다고 모으고 결혼한 친구들도.. 금새 사라져버리는 통장잔고에 당황한다고 하고..

또 출산 후에는.. 변해버린 생활과 함께.. 마이너스를 찍고 있는 통장을 보며 참 씁쓸한 감정을 많이 경험한다고 하는데요~

결국.. 돈을 제대로 모을 수 있는 시기는.. 사회생활을 막 시작한 시기..

결혼 전.. 출산 전의 시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허니.. 앞으로 필요해질 자금을 위해.. 미리미리.. 똑똑하게 재테크하시고..

똑똑하게 자산관리 하셔야겠죠~^^??

감사합니다.


Posted by eri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