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로그 로딩속도와 최적화의 관계
최근 티스토리 블로그를 반응형으로 변경하게 되면서,
처음으로 블로그 로딩 속도에 대해 걱정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사실 블로그 로딩 속도는 최적화와 상당히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고민이 안들려야 안 들 수 없는 상황이기도 했지요.
사용자가 무언가를 검색하고, 그 내용을 찾아 블로그를 클릭해 들어왔는데,
로딩 속도가 더뎌서, "뒤로가기"를 눌러버린다면?
이건 블로그의 최적화에 절대 좋을 수 없거든요 ㅠㅠ
그래서 오늘은, 블로그 로딩 속도를 확인해볼 수 있는 사이트 한곳,
여러분들께 소개해드려 가져왔습니다.
위 사이트로 들어가시면 나오는 메인 화면입니다.
그 구성은 상당히 간단하게 되어 있으니, 영어라고 당황하지 마시고,
일단 한번 확인해볼까요^^??
1. 아래 이미지는, 사이트 좌측 상단을 확대한 부분입니다.
자세히 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할게요~^^
그 내용을 살펴보시면, 입력하는 것도 상당히 간단합니다.
먼저 네모칸 안에는 속도를 확인하실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 옆의 "cue it up"을 클릭하시면, 1~2초 사이에 그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구요^^
헌데, 그럼 바로 아래의 options부분은 무엇일까요??
처음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기본 세팅이 저렇게 둘다 "5"로 되어 있습니다.
각각을 살펴본다면,
→ "no. of calls"항목은 체크를 몇번 해볼 것인지에 대한 옵션입니다.
저 숫자를 1로 바꾼다면, 한번 체크해보고 그 로딩 속도를 출력하겠다는 이야기이지요.
→그리고 두번째, "call interval"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은, 체크 간격을 의미합니다.
한번 체크 하고, 다음에 체크할때까지의 텀을 몇초 둘 것인지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기본 세팅은 5초, 그러니까 5초후에 다시 측정하겠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2. 로딩 속도를 확인하고자 하는 블로그 주소를 입력후, "cue it up"을 클릭!!
그 작업이 진행되는 짧은 시간동안에는 우측에,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금방, 그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3. 입력하신 블로그의 로딩 속도 측정 결과 모습입니다.
좌측 하단을 보시면, 지금 이 블로그는 로딩 속도가 1.45초로
아주 빠르거나 아주 느리지 않은, 적당한 속도입니다.
물론, 1초 미만으로 나오시는 분들도 많습니다만, 이 블로그가 반응형임을 감안하면,
그냥저냥 괜찮은 속도이지 싶네요^^;;
그리고 우측에는 블로그 메인 화면 모습이 어둡게 처리되어 나오고,
그 이미지 위에 역시 "1.45초"라는 결과가 등장합니다.
물론, 이 "로딩 속도"라는 것은 인터넷 회선에 따라 차이가 조금씩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측정하는 환경에 따라 조금씩 그 속도 차이가 나타난다는 사실은 감안하셔야 합니다.
즉, 본인이 자신의 블로그 속도를 측정해 본 그 결과가,
다른 사람들과 비슷하지 않을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만큼 환경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이 인터넷 매체인 셈이지요.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스킨에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말은,
물론 "그 시간에 글 하나 더 써라"라는 말일수도 있으나,
또 한편으로는 "블로그를 너무 무겁게 이것저것 꾸미지 마라"는 말일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예쁘게, 꾸미는 것도 좋지만,
그보다는 먼저 포스팅의 내실을 더 다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오래간만에 다시 생각하게 되는군요^^
행복한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