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 대한 이해,

"현대시 따라잡기"(day2)

<진달래꽃 - 김소월> 

 

 

(여기에 올리는 시들은, 현대시들중 특히나 자주 나오는 시들 입니다.)

 

 

진달래꽃  -  김소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 약산의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1. 특징 : 서정적이고 전통적(3음보, 전통적 소재사용, 전통적 정서)

2. 어조 : 애상적, 여성적 어조

3. 리듬 : 3음보의 각운

4. 표현 : 반어적 표현(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과 정감의 깊이(아름따다)

5. 주제 : 이별의 정한

6. 시상구조

하나, 1연에서의 시적 화자는, 운명에 순응하는 체념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별 상황을 가정함으로써, 미래를 노래했습니다.

둘, 2연에서 화자는, 헌신적인 사랑을 노래했습니다. "만약 당신이 나를 버리고 떠난다면, 어쩔수 없지요, 당신의 가는 길을 축복하겠습니다"라는 식의 지극히 순종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셋, 3연에서는 원망의 초극이 느껴집니다.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라는 표현이 그러합니다. 그와 동시에 시상은 고조되고 있군요.

넷, 4연에서는 시상이 전환됩니다. 전체적인 시상도 마무리 되는 부분입니다.

반어법을 활용하여 "죽어도 당신과 헤어지고 싶지 않습니다"라는 구구절절한 사랑을 강렬하게 소망하고 있습니다.

겉으로는 순종적인 여인상을, 속으로는 님이 떠나지 않기를 강렬히 소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영원한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할수 있습니다.

7. 이 시는.. : 이 시와 그 맥을 함께하는 것으로는, 고려의 "가시리"그리고 황진이의 시조가 있습니다. 이 시는 전통시이며 특이하게도 미래 상황을 가정하고 있습니다.

8. 문제로 내기 좋은 부분

하나, 진달래꽃의 상징적 의미는?? (헌신적 사랑)

둘, 이 시의 화자는 이별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이별을 운명으로 받아들이지만, 행동과 마음이 서로 다른 상황)

 

 

Posted by eri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