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수면시간과 연관있다!!
미국 뉴욕대학 랭곤 메디컬센터 건강행동변화센터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면시간"이 뇌졸중 발병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헌데, 단순히 잠을 적게 자는 것이 뇌졸중 발병을 높이는 결과가 아니라, 잠을 너무 많이 자도, 또 너무 적게 자도 둘 다 뇌졸중 발병률을 높인다는 것이 이 연구 결과의 포인트!!!
즉, 잠을 지나치게 많이 자는 것 역시, 뇌졸중의 위혐을 높인다는 이야기입니다.
세익사스 박사는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성인 28만 8천 888명의 생활습관을 조사, 각종 건강 위험요인들을 데이터로 추가, 컴퓨터 모델로 만들어 분석한 결과 이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발혔는데요, 이에 따르면 하루 수면시간이 7시간 이하의 사람인 경우 뇌졸중 발병 위혐이 22%, 반대로 수면시간이 8시간 이상인 사람은 146%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수면시간이 하루 7~8시간인 사람의 뇌졸중 발병률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25%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요, 여기에 더불어 꾸준한 운동을 하는 사람 역시 뇌졸중 위험이 확~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즉, 수면시간은 물론이고 운동역시, 뇌졸중 발병률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이야기인 셈이죠.
이와 같은 조사 결과만 놓고 보더라도 사실상, 수면과다가 오히려 수면부족보다 더 큰 문제가 된다고 할 수 있겠는데요, 헌데 이러한 결과는 비단 뇌졸중에만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각종 질병들이 오히려, 과다 수면시간에 안좋은 영향을 받는 경향이 강하다는 사실은 최근 꾸준히 이어져온 연구 결과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는 말씀!! (비만, 당뇨, 고혈압, 심장질환 등)
허니 잠도 "적당히"자는 것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이야기겠죠.
허면, 과연 어느정도의 수면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건강에 좋을까요??
미국 하버드 의대 수면과학센터의 오르페우 벅스턴 박사가 제시한, "자신에게 맞는 수면시간을 알아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밤에 잠들기 전, 9~10시간 정도 뒤에 알람이 울리도록 해 놓고 잠을 잡니다.
- 그리고 몇시간 지났을 때 눈을 뜨는지를 기록해두세요.
-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이 어느정도 잠을 자는 것이 좋은지를 체크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사실, 수면시간은 뇌졸중이나 각종 질병은 물론이고, 사망률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해요.
그리고 이러한 연관성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연구에 의해 밝혀졌다고 하는데요, 어쨋든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사람들에게 가장적당한 수면시간은 하루 7~8시간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수면시간이 5시간 이하인 경우에는 사망률이 21% 높았고, 반대로 수면시간이 10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사망률이 36%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된 부분을 살펴보면, 사실상 잠을 오히려 많이 자는 경우가 건강에 더 치명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겠습니다.
허니 본인에게 맞는 수면시간을 체크해 보시고, 그 수면시간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지 않도록, 6~8시간정도의 적정 선을 유지,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그 무엇보다 중요한 건, 양질의 잠, 숙면, 꿀잠을 자는 것이라는 점 잊지 마세요^^
감사합니다.